JSP 6

JSP 웹소켓(WebSocket) 만들고 활용하기

■ 소켓(Socket)이란? TCP/IP 기반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마지막 접점을 말한다. 소켓통신은 이러한 소켓을 통해 서버-클라이언트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양방향 연결 지향성 통신을 말한다. 소켓통신은 보통 지속적으로 연결을 유지하면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된다 소켓은 클라이언트 소켓과 서버 소켓으로 구분되며, 소켓간 통신을 위해서는 네트워크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해당되는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한 IP주소와 해당 컴퓨터내에서 현재 통신에 사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포트번호가 사용된다. ■ 웹 소켓의 필요성 웹 소켓은 w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client와 server 사이에 양방향 연결 스트림을 지속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반으로 채팅이나 구..

JSP 2023.04.15

MVC 패턴 이란?

■ MVC 패턴 이란? MVC 패턴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Model, View, Controller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디자인 패턴이다. Model :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나 정보를 제공한다. View : 사용자의 요청을 화면으로 출력한다. Controller :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요청에 따른 전체적인 흐름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얻고자 하는 정보나 기능을 컨트롤러에게 요청한다.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맞는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다.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면서 컨트롤러는 필요에 따라 모델을 호출하여 데이터를 요청한다. 요청을 모두 처리하면 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화면으로 출력) M..

JSP 2023.04.14

JSTL이란? JSTL 사용법

■ JSTL이란 JSTL란 자바서버 페이지 표준 태그 라이브러리(JavaServer Pages Standard Tag Library)이고 줄여서 JSTL이라 부른다. 즉 JSTL + EL의 조합을 말한다. ▶ 자바코드를 html태그형식으로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나온 라이브러리 HTML 코드 내에 java 코드인 스크립틀릿 를 ${student}로, 문을 , 문을 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JSP에서 java코드가 들어갈때마다 매번 이 태그를 넣어 사용하면 가독성도 굉장히 떨어지고 사용하기가 불편해진다 그래서 나온것이 JSTL라이브러리이다. ■ JSTL 사용방법 JST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JSTL jar 파일과 JSTL 구현체(implementation)를 설치해야 한다. https://repo1.mave..

JSP 2023.04.11

JSP Scope의 4가지 개념과 쓰임

■ Scope 란 프로그램상 사용되는 변수들은 사용 가능한 범위를 가지는데, 이 때 변수의 범위를 Scope 스코프라고 한다. 즉, 웹 서버에서 객체 또는 변수가 생성된 후 유효 할 수 있는 범위로 변수가 선언된 블럭이 그 변수의 사용범위이다. JSP 내부객체 개발자가 객체를 생성하지 않아도 jsp 페이지가 서블릿 컨테이너 (Tomcat)로 로딩되면 Tomcat 등 서버가 자동으로 생성하는 객체 따라서 개발자는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필요한 작업만 할 수 있게 된다 JSP 페이지는 Web 서버 및 Servlet Container 라고 하는 복잡한 환경에서 실행이 되기 때문에, 실행 중에 여러가지 상태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 사용되는 객체들이다 톰캣서버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된 객체이다. 개..

JSP 2023.04.04

JSP 내부객체

1. 내장객체란 무엇일까? "JSP 내에서 선언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객체이다." JSP가 서블릿 형태로 자동 변환된 코드 내에 자동으로 포함되어 있는 멤버변수, 메서드 매개변수 등의 각종 참조 변수들을 말한다. 보통 스크립트릿 내부에서 사용하며 내장객체를 통하면 사용자 요청을 컨트롤하거나 페이지 간의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다. 내장객체들은 특정 클래스에 대한 인스턴스 형태로서, 컨테이너를 통해서 초기화되고 다양한 기능과 정보들을 제공한다. 1. request : javax.servlet.ServletRequest(javax.servlet.http.httpRequest) >> client의 http 요청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객체 getParameterNames()현재 요청에 포함된 매개변수의 ..

JSP 2023.04.04

JSP(Java Server Pages) 란

■ 웹 프로그래밍과 JSP 웹 프로그래밍 언어 : 클라이언트 측 실행 언어와 서버 측 실행 언어로 구분 JSP : Java 기반으로 하는 서버 측 웹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 JSP는 서블릿의 화면처리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나왔으며 HTML 과 데이터를 조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적 특징을 가진다. ■ JSP장점 및 특징 플랫폼에 독립적이다. 서블릿보다 배우기 쉽고 간단하며 빠른 개발이 가능하다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스크립트 언어로 되어 있다 자바를 배우지 않았어도 쉽게 접근 가능하다. 처리 결과를 HTML, XML, DOC 등 사용자의 요청에 맞게 제공할 수 있다. 서블릿, 스트럿츠, 스프링, EJB 등의 프레젠테이션 로직인 view 영역으로 잘 융합되어 많이 사용하고 있다. XHTML이나 ..

JSP 2023.04.03